본문 바로가기

學而時習1008

[스크랩] 혜원 신윤복의 명화감상 혜원 신윤복의 명화감상 신윤복(申潤福, 1758년 ~ 사망일 미상) 기방무사 (妓房無事) 방안에서 남녀가 무슨 일을 하고 있다가 누군가 들어오는 소리에 당황한 듯 하죠? 아마도 방 안의 여인은 기생의 몸종이고, 방안의 남자는 기생을 찾아왔다가 그녀의 몸종과 사랑을 나누던 게 아닐까 생.. 2017. 9. 17.
제5회 청주문인화협회전 열리던 날(17.9/2,토) 제5회 청주문인화협회전이 열립니다. 올해는 산하도 지난 5월 이 협회에 가입하여 처음으로 출품하고 여러 회원님들과 함께 합니다. 33인 중 하나로...ㅎㅎ 인당 조재영선생님이 6년전 이 협회를 창립하여 해마다 전시회를 갖고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사군자중 국화를 테마로 회원전을 갖.. 2017. 9. 2.
세종시서예대전 우수상 입상 휘호(8/20,일) 올가을 각종 서예전시회와 대회에 여러점 출품합니다. 문경, 육본, 세종시, 문인화회원전, 충북서예 더운 여름 열공한 보람이 있으려나... 육본주최 호국대전은 올해 처음 낙선했고 세종시서예대전은 우수상으로 선정되었다네요. ㅎㅎ 운좋게 올해 두번 우수상을 받은 영광을 누립니다. .. 2017. 8. 20.
'청주성 전적지 답사' 의병의 길을 따라서 8월11일(금) 08:00 청주문화원과 청주학 연구원이 주관하는 청주성 탈환 425주년 기념 2017 청주읍성축제 '청주성 전적지 답사' 의병의 길을 따라서...라는 테마를 가지고 역사탐방에서 나섰다. 2017년 9월2~3일 열리는 읍성축제는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청주읍성 탈환을 기념하는 행사이다. 청주 읍성 탈환을 이끌었던 의병장 조헌장군과 청주성 전투와 관련된 영규대사, 박춘무 장군의 발자취를 따라 가본다. 마침 버스 옆자리는 고딩,대학친구인 이병*, 반갑다 친구야! 그리고 예전 함께 근무했던 조항*형님, 김영*박사님도 함께하네. 우리를 실은 버스는 세종를 지나 공주군 갑사입구에 다다른다. 계룡면 면사무소 앞에 있는 영규대사비... 공주시 계룡면 유평리... 영규대사를 기리는 유적지 계룡산 갑사에.. 2017. 8. 11.
유교경전 大學의 근본 정신은 三綱領과 八條目... <대학(大學)>의 근본 정신은 삼강령(三綱領)과 팔조목(八條目)에 나타나 있다. 삼강령(三綱領)은 명명덕(明明德)·신민(新民)·지어지선(止於至善)을 말하고, 팔조목(八條目)은 격물(格物)·치지(致知)·성의(誠意)·정심(正心)·수신(修身)·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 2017. 8. 10.
[청주학 특강] 마음을 맑히는 유불의 연꽃 미학 매주 수요일 19시 청주문화원에서 청주대 청주학연구원에서 주관하는 청주학 특강을 들었다.김교수님의 연꽃 강의  연꽃의 아름다움은 비교할 수 없다  애련설 愛蓮設 (周茂叔 1017-1073)♠주돈이는 중국 송나라의 사상가이다. 성리학의 기초를 닦았다. 자는 무숙(茂叔), 호는 염계(濂溪), 시(諡)는 원공(元公)이다. 염계선생이라 많이 불리운다.그는 연꽃을 사랑해서 '애연설'이라는 글을 남겼다. 水陸草木之花에 可愛者가 甚蕃이나물과 땅에 풀과 나무에서 피는 꽃중에 사랑할 만한 꽃이 너무나 많다.晉陶淵明은 獨愛菊하고 自李唐來로는 世人甚愛牧丹이다진(晉)나라 도연명(陶淵明)은 국화(菊花)를 사랑하고당조(唐朝) 이래로 세상 사람들은 목단(牧丹)을 매우 사랑했다.予는 獨愛蓮之出於淤泥하여 而不染하고그런데 나만은 진흙탕.. 2017. 8. 10.
60대예술가부부? 매화 또다른 작품 시작!(7/27,목) 엊그제 인당샘의 60번째 생일... 황토색 시원한 내의로 커플푹을 하고 아들이 차려준 야식 생일파티를 갖습니다. 이제 인당샘도 60줄에 들어서네요. 김광석의 '어느 60대 노부부의 이야기' 노래를 들으면 둘이 살다 하나가 떠나가야하니 얼마나 서글픈 일입니까? 그나마 10여년전부터 인당.. 2017. 7. 28.
문경새재 아리랑 서예 대축제 출품(매화) 올 가을 문경새재에서 한국서예협회 회원전이 펼쳐진다. 청주에서도 버스 2대가 지원된다하니 우리서실 회원님들과 함께 나들이겸 다녀오려한다. 간 김에 문경새재도 넘어봐야제... 2017 한국서예협회 회원전 문경새재 아리랑 서예 대축제 1. 전시개요 ▸ 전시명칭 : 2017 한국서예협회 .. 2017. 7. 28.
청주문인화협회전 출품(7/20,목) 가을이 시작되는 9월초 청주문인화협회 회원전이 열립니다. 올해 회원으로 가입하여 처음으로 출품합니다. 7년전에 그려보았던 국화... 다시 그려보기 시작... 청주에 폭우가 쏟아지던 날 그리고 지난 7월19일(수) 최종 낙찰(?) 선정작...ㅎㅎ 2017. 7. 21.
폭우피해 산성에 오르며 만난 꽃들 2017.7월8일(토) 요며칠 박카스가 사는 청주에도 정말로 많은 폭우가 쏟아지네요. 토요일 오래간만에 하나산악회따라 장성 입암산에 가려고 했는데 전국적인 호우주의보로 산행이 취소되니 아쉽네요. 서실에 나가 국화를 그려보지만 먹거리만 챙기고 능률은 안 오르고 창밖 빗줄기만 바라봅니다. 오후들어 하늘이 좀 벗겨지길래 이때다 싶어 나갑니다. 상당산성옛길은 비가 와도 끄덕없습니다. 예전 차량이 다니던 도로를 옛길로 만들었으니까요. 아파트 화단에도 많은 매자나무... 이게 단풍인가? 화살나무 단풍처럼 아름답습니다. 수호초... 양매자나무... 바라만봐도 청정하고 시원해보입니다. 6,7월은 원추리 계절이라도 할까? 참 많은 원추리를 만납니다. 걷기에 참 좋은 길입니다. 무엇보다 길옆 많은 꽃들이 반겨줍니다. 봄에.. 2017. 7. 9.
여름에 피는 협죽도 vs. 풀협죽도 상당산성마을을 지나며 한 농가의 화단에 만난 이꽃의 정체는? 다움으로 꽃검색을 해보니 이상하게도 '협죽도'라고 나온다. 이상하다. 내가 아는 협죽도는 이건데... 그렇해서 시작한 협죽도 vs. 풀협죽도를 구별해보았다. 먼저 협죽도는... 참 흔한 꽃이다. 유도화라 불리어지기도 하고... .. 2017. 7. 9.
[수필]깜장고무신 깜장고무신.hwp 깜장 고무신 박 해 순 며칠 전 대전의 옛 민속박물관에 들어갔더니 깜장고무신이 눈에 띄었다. 깜장고무신! 고무신 세대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너도 나도 고무신을 싣고 다녔으니 어릴 적 추억 한 두 가지 꺼내놓지 않을 사람이 어디 있으랴! 나도 그 추억들을 하나둘 꺼내.. 2017. 7. 6.
[수필] 백일장 대회 백일장 대회 박 해 순 지금도 있긴 있지만 유명무실해진 5일장! 내 고장 청주 인근지역에서도 전통시장인 5일장이 청주, 옥산, 오창, 미원 그리고 조치원 다섯 지역을 돌아가서 열렸었다. 그중 내가 살던 곳에서는 충북지역이었지만 조치원이 가까워 그곳으로 장을 보려 다녔는데 조치원 .. 2017. 6. 30.
[청주문인화 회원전]7년전 국화를 다시 그려보네. 벌써 7년전 일이었드냐! 2010.4월 단재서예대전 국화 입선 국화 줄기 인맥 넣기가 그리 어려웠지... 집사람이 회장으로 있는 (사)한국문인화협회 청주지부 올 봄 회원으로 정식가입하며 올 가을 회원전(9월초)을 준비한다. 작년에는 매화를 테마로 올해는 국화를 테마로 한다지... 6년전 그렸.. 2017. 6. 25.
[좋은칼럼]흔들리는 갈대? 갈대는 지조가 있다 갈대예찬...흔들리는 갈대? 갈대는 지조가 있다. [심종기 칼럼]미풍에도 강풍에도 본질을 지키는 갈대에서 배우라 심종기 칼럼니스트ㅣ 기사입력 2017/02/07 [15:05] 갈대라는 식물이 있다. 갈대는 민물과 바닷물이 교차하는 둑이나 습지에 사는 다년생 식물이다. 그런데 이 갈대는 자신의 본.. 2017. 6. 25.
개발새발이 표준어 아닌가요? 어쩌나 이 글을 읽으시는 분이 계시다면 다음중 표준어는 어느 것일까요? ① 개발새발 ② 개발쇠발 ③ 괴발새발 ④ 괴발개발 답은 ④ 괴발개발’이다. 개발새발(x)이 아니라 괴발개발(0)이네. 그것 참... 흔히 제멋대로 모양 없이 써놓은 글씨를 “글씨가 개발새발이다”, “개발쇠발 썼구.. 2017. 6. 16.
걸레같은사람이 되어보자 우리는 툭하면 치사하고 더러운 행동을 하는 사람을 가리켜 "야, 이 걸레 같은 놈아"라 한다. 때로는 지조 없이 천하게 사는 사람을 "걸레는 빨아도 걸레다"라고 욕을 한다. 한번 먼지나 바닥을 닦은 걸레는 아무리 깨끗이 빨아도 사람의 몸은 닦을 수 없다며 애시 당초 본성이 좋지 않거나.. 2017. 6. 12.
인당 샘 북누리 페스티벌에 참여(6/10~11) 2017. 6. 10.
문화교실 수필반 종강하던 날(17.6/8,목) 오늘 수필반 15번 강좌의 종강... 교수님의 오늘 강의는 역사에 남을 만하다. ㅎㅎ 교수님은 마지막 강의가 아쉬우신 듯 열정을 토해내시고... 우선 강의시간부터 장장 156분..... 10시에 시작한 강의는 쉬는 시간도 없이 12시를 넘어 무려 12시 36분까지 계속 되었다. 예전 대학원때 화장실갈 .. 2017. 6. 9.
다시 梅花 열공 모드로 올봄 매화 대박^^ 이른바 4관왕 ㅋㅋ 상금탔다고 술자리도 이어지고 ㅠㅠ 이제 다시 열공 모드로 바뀌어야제...ㅎㅎ 인당선생님의 개인전 도록을 보고 이 매화를 체본없이 그려보기로 했다. 6월6일(화) 설악산 서북능선, 휴일은 함께 있어야지. 6월7일(수) 정선 두위봉 철쭉, 이회장님 모친.. 2017. 6. 8.
도종환의 詩 '담쟁이' 어제 오후 상당산성으로 올라 산성옛길을 거쳐 해가 우암산에 걸칠때쯤 국립청주박물관에 잠시 들렸다. 국립청주박물관은 건물이 한국 현대건축의 기념비적인 작품인데다 조경이 참 아름다워 종종 찾아 한바퀴 돌며 쉬었다간다. 모레 수필반 종강 파티후 뒷풀이로 이곳을 함께 왔으면 .. 2017. 6. 6.
[수필]검은등뻐꾸기 울음소리들으며... 가끔씩 새벽운동으로 김수녕양궁장 뒷산인 낙가산 자락에 있는 보살사를 찾는다. 벌써 성하의 여름, 산책길이 수풀이 무성해 하늘만 빼꼼하다. 그런데 오늘은 오르는 길에 참 재미있는 새 울음소리를 듣는다. 어라! 분명 이 소리는 뻐꾸기 소리는 아닌데...'뻐꾹 뻐꾹' 하는 뻐꾸기 소리보.. 2017. 6. 5.
백제서예대전 우수상 받던 날(6/3,토) 성하의 계절 6월에 들어서며 기다리던 비는 오지않고 청명한 날이 계속 이어집니다. 벌써 한낮은 무척 덥지만 새벽 산책길은 시원상큼하고 1시간쯤 운동하기에 참 좋습니다. 오늘은 백제서예대전 시상식 열리는 날... 점심을 먹고 축하사절단(?) 두 미녀와 함께 갑니다. 조치원에 있는 세.. 2017. 6. 4.
[문학강의]골드만의 발생구조주의(6/1, 목) 오늘 문학강론은 참 어려웠다. 교수님께서도 서두에 문학 박사과정이상의 수준이란다. 그래요? 헐... 그러시며 처음부터 생소한 골드만의 발생구조주의를 언급하신다. 구조주의는 뭐고 발생구조주의는 또 뭔가? 구조주의(Structuralism) 구조주의는 문화를 하나의 체계로 보고 그 체계를 이.. 2017. 6. 2.
외도에서 만난 꽃들(17.5/31,수) 외도에서도 백미였던 화원... 그 아름다움은 한동안 오래갈 듯하다. 그 짧은 시간에 일일이 눈여겨 볼 수는 없고 우선 먼저 사진으로 부지런히 담아보았다. 2017. 6. 1.
세종대왕과 초정약수축제 이모저모(5/25~28) 세종대왕과 초정약수축제를 소개합니다. [신문기사 발췌] 제11회 '세종대왕과 초정약수축제'가 26일 내수읍 초정문화공원에서 막을 올렸다. 축제는 ‘세종대왕 초정수월래(水越來)’를 주제로, 오는 28일까지 초정문화공원 일원에서 열린다. 첫날인 26일에는 영천제와 지역 어르신들을 위.. 2017. 5. 29.
名妓 황진이가 남긴 시조 6편속에는(17.5/27,목)... 오늘 문학강론시간에 교수님께서 황진이를 언급하셨다. 고등학교 국어시간에 배운 그녀의 시를 배운 적이 있지.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감을 자랑말라... 그리고 학자 서경덕을 유혹했는데 실패했다고... 그리고 이렇게 알고있다. 황진이(1506~1567?) 조선 중기의 시인, 기녀, 서예가, 음악가, 무희... 조선 중종 명종때 활동했던 기생 [백과사전에서 퍼온 글] 우리는 역사적 인물을 바라볼 때 흔히 어떤 고정관념에 사로잡히기 쉽다. 한 사람을 ‘정치가’라거나 ‘장군’이라거나 ‘충신’이라는 선입관을 가지고 평가하게 된다는 것이다. 황진이도 ‘기생’이라는 선입관으로 평가하고 이야기한다. 동시에 기생이지만 시도 잘 짓고 거문고도 잘 타고 춤도 잘 추고 얼굴도 예쁜데다, 남성들을 농락하는 교태를 지니고 서경덕과의 .. 2017. 5. 27.
[문학강론]문학속에서의 역설(paradox)(5/25,목) 오늘은 문학강론 13번째 시간으로 강의 주제는 역설(paradox)... 1.뜻 - 외면상으로 모순되고 불합리한 것같지만 실제로는 사리에 합당한 의미를 지니고 있음이 밝혀지는 진술이다. 즉 상반되는 요소의 결합으로 모순되는 경험을 통합하는 언어이다. 2. 역설의 문법성이 지니는 효과 1) 모순어.. 2017. 5. 26.
올해도 초정약수축제 문인화 부채체험 운영(5/26~28) 올해도 인당 조재영선생님은 세종대왕과 초정약수축제에 참가합니다. 이 축제은 이런 연유에서 시작되었지요. 3일간 펼쳐집니다. 인당선생님은 7번 부스 문인화 부채전시 체험입니다. 벌써 5월20일(토) 행사를 홍보하는 어전행렬이 청주 성안길에서 있었습니다. 2017. 5. 26.
장미꽃! 그 아름다움에 대하여!(17.5/17,수).. 계절의 여왕, 5월... 5월의 꽃, 장미꽃를 찾아 나서봅니다. 그리고 그 아름다움에 대해 노래하려고합니다. 장미에 관한 노래가 제법 많네요. 사월과 오월의 '장미' 엄정화의 '배반의 장미' 이은하의 '겨울장미' 사랑과 평화의 '장미 한송이' 심수봉의 '백만송이 장미' 그중에서도 기억에도 새.. 2017. 5.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