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而時習1008 [스크랩] 여행이란 무엇인가? 여행기를 마무리하면서 새삼 “여행이란 무엇인가?” “왜 여행을 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들었습니다. 사람마다 그것에 대한 정의를 다르고 이유도 다르기 때문에 이런 질문 자체가 우문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많은 사람들은 ‘집을 떠나면 고생이다’ ‘나가면 돈’이라는 말을 하면.. 2018. 9. 30. [체본] 인당샘의 蘭 그리기 2018. 9. 30. 2018 충북서예대전 출품작(18.9/28,금) 러시아 바이칼 다녀온 후 열흘 열공하여 드뎌 낙관을 찍었네. ㅎㅎ 이번에는 홍매화, 백매화 2점 출품하기로... 한점은 보관, 내년봄 더 열공하여 국전에 출품... 2018. 9. 28. [문학강의]'문학은 실존주의다'(18.9/27,목) 지난주 문학강의에 실존주의를 언급하셨던 교수님... 오늘 강의는 이 질문으로 시작하신다. "지난 시간에 문학강의하면서 왜 실존주의 철학을 들고나왔죠?" "...." 또 막힌다. 철학강의가 그리 쉬우랴! [니체의 철학] 그가 쓴 짜라투스트라 서문에 나오는 글귀 "태양이여! 더 위대한 별이여! .. 2018. 9. 27.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 이제야 조금 알겠네 학창시절 윤리시간에 들어보았던 '실존은 본질을 앞선다' 사실 무슨 뜻인지도 모르고 무조건 외우기만 했는데... 오늘 임승빈 교수님의 명강의를 들으며 조금은 알 것같네요. [강의 요약] 20C 최고의 지성인이라 불리는 프랑스의 사르트르(Sartre) 그는 1920~30년대 실존주의 철학자였는데... 장인(匠人)이 종이칼(paperknife)을 만든다? vs. 하느님이 인간을 만든다? 과연 둘은 뭐가 다를까? 장인이 종이칼을 만들어 수명이 다하면 못쓰고 끝이다. 장인의 개념(idea)이 끝까지 구체화되었다고 볼수 있다. 이럴땐 '본질이 실존에 앞선다'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하느님의 개념에 따라 인간을 만들어놓았지만 인간은 하느님의 뜻대로 살지않는다. Robot나 꼭두각시처럼 살아가지 않는다. 그들.. 2018. 9. 21. 2018 충북서예대전~ 열공합니다(18.9/18~28) 그것참 신기합니다. 지난 5월부터 무려 넉달이나 매화를 그리지않았는데 이런 솜씨(?)가 남아있다니 '썩어도 준치'란 말인가? 회원님들이 다들 칭찬하신다. 그래요? 탄력받고 더 열심히 그려야죠. ㅎㅎ 이제 첫삽! 매화그리고 화제쓰고... 추석 연휴에도 열공! 이번 충북서예대전엔 백매화.. 2018. 9. 19. 청주문화원 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18.9/8,토) 어느덧 이슬이 내린다는 白露... 한낮에는 햇볕이 따가운 날씨지만 종일 맑은 가을날... 산행 못간 아쉬움을 음악회로 달래봅니다. ㅋㅋ 참으로 간만에 문화예술인(?)이 되어보려고 청주아트홀을 찾아갑니다. Music Family 김아우님내외분과 저녁을 먹고 청주문화원 가족들이 많이 보이네요. .. 2018. 9. 9. 청주읍성큰잔치 문화체험 부스운영(18.9/1~2) 청주성 탈환 426주년을 기념하는 2018청주읍성큰잔치가 열렸지요. 청주읍성큰잔치는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청주의 의·승병들이 힘을 모아 왜군에게 함락됐던 청주성을 탈환한 것을 기념해 개최하는 행사입니다. 특히 올해는 청주성 탈환 426주년을 맞아 ‘읍성, 품속으로’를 주제로 시민 .. 2018. 9. 3. 도림공방 김만수 도예가를 찾아 도자기그림을 굽네(18.8/27월~30목) 주경야독(晝耕夜讀)! 낮에는 서실을 비롯해 이곳저곳으로 문인화 강의나가고 밤에는 거실에서 초벌구이 도자기에 열심히 그림을 그립니다. 오늘은 그간 그려온 도자기 그림을 구우려합니다. 청주시 수름재에 있는 도림공방을 찾아갑니다. 점토와 함께 살아온 35년, 도예가 김만수 작가님.. 2018. 8. 28. 한중서예교류, 인당서실에서 필회하던 날(18.8/21,화) 충북민예총서예위원회가 주관하는 한중서예교류전 둘째날 오후... 중국서예인들이 인당 조재영의 '인당먹그림' 서실을 찾았지요. 2014.12.28에 이어 두번째 찾아주셨지요. 먼저 한중서예인들이 차를 마시며 환담을 나눕니다. 이어서 서실에서 필회를 갖습니다. 오늘이 있기까지 쉽지는 않.. 2018. 8. 21. 백곡 김득신展&한중서예교류전(18.8/20,월) 111년만의 최악의 폭염이라는 여름이 끝나갈 무렵 백곡 김득신서예전과 한중 서예교류전이 펼쳐집니다. 인당선생님! 출품하시느랴 수고많으셨네요. 인당 조재영 작가 작품... 한중교류전 김득신전... 이윽고 중국서예인들이 도착합니다. 김병우충북교육감님도 오셨군요. 한중 문화계 인.. 2018. 8. 21. 책읽는 청주 선포식날!이병률,백영옥 작가와의 만남(18.8/18,토) 가끔씩 카톡으로 전해오는 김교수의 메시지는 박카스를 참 우울하게 한다. 강의,연구 그리고 여행으로 바쁜 나날속에서 언제 또 책을 이리 읽는지... 수필반 주시인님은 안과치료를 받으면서도 눈이 빠지도록 책을 읽는다. 물론 시나 수필을 쓰는 문인이라지만 다들 노안을 핑계대며 책.. 2018. 8. 18. 미동산수목원에 핀 8월의 꽃꽃꽃... 포시즌산악회 8월 산행코스는 괴산명산 가령산! 하지만 2명이나 빠져 가까운 미동산 수목원으로 향했다. 퇴근하며 자주 찾던 미동산수목원... 퇴임하니 참 오래간만에 찾았네. 당신은 사랑받기위해 태어난 사람... 꽃은 당신의 사랑을 받기위해 태어났지요. 오늘은 미동산수목원에 피어있는 8월의 꽃을 살펴볼까합니다. 와! 입구에 이 꽃 전시회는? 아하! 우리나라의 꽃 무궁화 우수분화 전시회이군요. 충북을 대표하여 전국무궁화전시장으로 출품한답니다. 무궁화도 여러 종류가 있군요. 홍단심계... 백단심계... 홍단심계... 순백색의 배달계... 흰색꽃잎에 홍색무늬..이사달계? 무궁화 삼천리 금수강산... ㅎㅎ 모감주나무... 그 열매가 이리 떨어져있네요. 참 무더운 날씨입니다. 이런 날 박카스는 왜 산으로 나서는 걸까.. 2018. 8. 6. 푸른청주 직지서예 초대작가전 開展(18.7/21,토) 벌써 열흘넘게 계속되는 폭염... 1994년 이후 가장 더운 여름이라네요. 그 한가운데 청주서예가 총연합회 초대작가전이 열립니다. 청주지역에서 내노라하는 작가님들이 참여하셨네요. 울부부 오전 9시, 가장 먼저 전시장에 도착합니다. 곽회장님을 비롯한 작가님들이 속속 오셔서 전시장.. 2018. 7. 22. 인당 조재영선생님 작품, 청주마이크로병원 갤러리에 한달간 전시되네(18.7/13~8/25) 음메...청주시내가 이리 다 내려다보이나? 마이크로병원 15층 옥상에서 바라본 청주시내. 수지접합 전문병원이었던 마이크로병원이 최근 15층 건물로 이리 새 단장되었다네. 그중 13층은 식당, 강당... 평소 사진과 예술에 관심이 많으시던 사모님께서 복도에 전시장을 마련... 이젠 병원도 .. 2018. 7. 14. 제30회 대한민국서예대전 개막식 열리던 날(18.6/6,수) 6월6일 호국영령을 기리는 현충일! 인당먹그림 회원님들과 서울 인사동에서 열리는 제30회 대한민국서예대전 시상식과 개막식에 참석합니다. 25인용 버스를 임대하여 인당먹그림 회원님들과 충북지회 임원님 18명이 함께했습니다. 한 식당에서 점심을 먹고... 식사후 인당선생님과 이곳저.. 2018. 6. 8. 2018 청주민족예술제 전시 '통일에 빛을 더하다'(18.5/25,금) 제25회 청주민족예술제가 열립니다. '통일에 빛을 더하다'는 시각장르를 포함한 모든 예술가들이 통일을 생각하며 작업한 이미지와 메세지등을 보여주며 이것은 하나의 염원의 형태로 만들어 빛을 내어준다. 인당 조재영 작가님 글솜씨~ 작품앞에서...ㅎㅎ 모든 분들의 통일에 대한 염원.. 2018. 5. 25. [야생화] 말발도리, 그렇게 많은 줄 몰랐네. 오늘 아침 자전거를 타고 무심천 자전거도로로 나갔다. 그런데 자전거길 옆 저 하얗게 피어있는게 뭘까? 참 흐드러지게도 피어있군^^ 다움으로 꽃 검색을 하니 말발도리... 집에 돌아와 인터넷으로 검색하니 [백과사전] 초여름 산행 길에 바위에 붙어 하얗게 꽃 피운 것들과 종종 만난다. .. 2018. 5. 24. 속리산주변 폐교에 인당 작업실 차렸네!(18.5/22,화) 오랜 숙원(?)의 사업이었던 인당선생님 야외 작업실... 우연찮게 보은지역 예술작가인 송전 정기옥선생님의 귀뜸으로 수정초등학교 법주분교이었다가 지금은 폐교된 곳을 찾았다. 와우~ 노송이 이 학교의 역사를 말해주네. 학생들의 쉼터이었던 느티나무도... 지난 5월5일 어린이날 다녀.. 2018. 5. 23. 제20회 전국단재서예대전(18.5/11~14) 단재 신채호 선생의 올곧은 선비정신과 나라사랑하는 마음을 기리는 제20회 전국단재서예대전이 개막됩니다. 청주예술의 전당, 말끔히 전시장이 완성되고... 여러 서예단체장과 기관장님들이 개전을 축하하며... 청주문화원과 (사)한국서예협회 청주지부가 주관하는 단재서예대전~ 이윽.. 2018. 5. 15. 제20회 전국단재서예대전 이모저모(인당먹그림편) 제20회 전국단재서예대전... 인당먹그림 회원님들의 사진을 옮겨봅니다. 이번 대전을 주관하는 한국서예협회 청주지부장 인당 조재영선생님 참 수고가 많으십니다. 한복도 참 고우시고 피부도...ㅋㅋ 최근 이 분보다 더 열공하시는 분은 없을듯... 송원 유봉녀님 특선을 축하드립니다. 이.. 2018. 5. 14. 제20회 단재서예대전 산하 작품 2019. 전국단재서예대전.... 저기 산하의 작품이 있군요^^. 특선작... 입선작... 지도해주신 인당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인당선생님의 작품앞에서 예술가와 매니저..ㅎㅎ 2018. 5. 14. [사진]'아웃포커싱' 사진기술 배우며(18.5/8,화) 와~ 싱그러운 5월의 어느 푸르른 날이 바로 오늘이었던가! 하늘이 더없이 맑고 깨끗하네. 엊그제 봄이다 싶더니 어느새 햇살은 따갑게 느껴지고... 오늘오후는 서예수업을 잠시 접고 국립청주박물관으로 사진기술을 배우러 나왔습니다. 마라톤친구이자 청록사진연구회 명예회장 이종혁.. 2018. 5. 9. 5월에 피는 쪽동백나무와 때죽나무의 구별! 쪽동백나무와 때죽나무의 구별은? 쪽동백나무꽃... 엇비슷한 때죽나무꽃 하지만 쪽동백나무꽃은 꽃줄기가 따로 나와.... 이렇게 꽃이 피고 때죽나무는 잎파리에 꽃이 나와 제각각 달리며 꽃도 이렇게 핀다. 2018. 5. 2. 청주문화원 역사문화탐방 '청주를 날다'(18.4/28,토) 청주문화원에서 진행하는 역사문화답사프로그램 '청주를 거닐다’에 참가합니다. 오늘은 1차답사로 주제는 '노블리스오블리제, 어떻게 살 것인가' 기암서원→영조대왕태실→쌍천서원→신채호사당→묵정영당→구봉영당, 신형호고가→신규식생가→계산리5층석탑→신홍식묘소 맨처음 찾아간 곳은 낭성면 갈산리에 있는 기암서원 1699년(숙종 2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강백년(姜柏年)의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오창면 기암리에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으며, 1706년에 오숙(吳熽)을 추가 배향하였다.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84년 후손들에 의하여 현재의 위치에 복원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곳에서 후학을 양성하고... 이곳에서 제례를 지내고... 싱그러운 햇살에 신록이 우거진 숲속으로 영조 태실을.. 2018. 4. 29. 2018청주민예총 서예전시회&청록사진연구회 사진전(18.4/26,목) 어느덧 4월도 끝자락! 청주예술의 전당에서는 두 행사가 동시에 열렸지요. 인당 조재영선생님이 회원으로 있는 2018 청주민예총 서예위원회 전시회가 열렸습니다. 회원님들을 비롯한 많은 분들이 오셨네요. 민예총 회원님들이 소개되고... 도록에 실린 인당 조재영선생님... 남송선생님 작.. 2018. 4. 26. 충북-제주 서예교류전(18.4/21~4/24) 충북-제주 서예교류전... 2017년에는 제주에서 서예교류전을 가졌고 2018년에는 청주에서 서예교류전을 갖습니다. 많은 서예인사들이 참석하셨군요. 전현직 임원을 맡으신 분들의 작품은 Royal Box에... 인당 조재영선생님 작품 남송 곽현기님, 단양 정상례님 작품 오~ 가연님의 홍매화... 돋보.. 2018. 4. 24. 2018.강암서예대전 휘호대회, 입선!(18.4/21,토) 작년에 이어 2번째로 전주 화산체육관을 찾았습니다. 화창한 봄날, 25인승 버스로 봄나들이가는 기분입니다. 바로 이 대회를 참석하기 위해... 예선격인 1차 관문은 인당먹그림 회원 20명이 통과했지만 이런저런 일로 못가시고 13명 회원님들이 휘호에 참가 합니다. 일치감치 도착하여 한켠.. 2018. 4. 23. 4월말, 청주권에 피는 꽃꽃꽃... 요즘 가장 듣고싶은 노래가 있다면 바로 이 노래... 가장 읽고싶은 글이 있다면 바로 이양하님의 '신록예찬' 봄, 여름, 가을, 겨울, 두루 사시(四時)를 두고 자연이 우리에게 내리는 혜택에는 제한이 없다. 그러나 그 중에도 그 혜택을 풍성히 아낌없이 내리는 시절은 봄과 여름이요, 그 중.. 2018. 4. 22. (사)한국서예협회 청주지부 단재 신채호 추모제례(18.4/19,목) 내고장 출신의 사학자, 독립운동가, 언론인이었던 단재 신채호... 2018년 4월19일(목) 사단법인 한국서예협회 청주지부는 올해로 전국단재서예대전 20회를 맞이하여 단재 신채호선생님의 묘소에서 선생님의 뜻을 기리는 제례행사를 갖었다. 청주시 상당구 귀래리에 있는 단재기념관... 단재.. 2018. 4. 17.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