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rpe Diem/바둑칼럼

2025 Dr.G 여자최고기사 결정전~

by 박카쓰 2025. 4. 8.

2025 Dr.G여자최고기사 결정전 향방은?
최정의 5연패?
8강 토너먼트, 패자전이 있고 결승3번기로 진행된다. 



3월31일(월) 8강전을 시작으로... 
김은지 9단 vs 허서현 5단 140수 종료, 김은지 백 불계승

4월1일(화) vs. 김채영
스미레는 초반 대마가 잡혔지만 약점이었던 끝내기가 무척 좋아져 반집승이었다. 통산 스미레가 3:2로 앞섰다. 

4월2일(수) vs. 오유진
조승아의 완승이었다. 통산 7승13패

4월3일(목) vs. 이나현
최정의 완승이었다. 

[패자조]
4/7(월) 허서현 vs. 오유진, 초반 오유진이 유리했지만 중종반을 지나며 허서현이 이겼다. 
4/8(화) 김채영 vs. 이나현, 김채영의 완승이었다. 

[승자조]
4/9(수) 김은지 vs. 조승아, 조승아에게 기회가 왔지만 살리지 못했다. 김은지는 승자 결승에 올랐다.  
4월...스미레 vs. 최정  

 

[지난대회 포스팅]
2024 닥터지 여자최고기사 결정전이 작년처럼 최정 vs. 김은지의 대결이 되었다. 최정의 4연패 수성이냐? 김은지로의 권력 이양이냐?

결과는 최정의 4연패 수성이었다. 최근 컨디션 저하로 김은지에게 밀려 랭킹 2위로 내려앉았지만 최정은 최정이었다. 1국을 패했지만 2,3국은 완벽한 내용으로 김은지를 압도했다.   

 



[결승 3번기]
8월1일(목) 제1국, 초반부터 김은지 우세한 바둑, 최정은 내내 밀렸다. 



8월14일(수) 제2국
해설자가 말한다. "최정다운 수가 등장했다."  "우리가 알던 최정으로 돌아왔다."  

 

최정이 우변 백대마를 잡으며 통쾌한 승리였다. 

 


8월15일(목) 제3국, 중반부터 최정이 앞서나가기 시작하여 내내 우세한 바둑이었다. 

 

 

[지난 포스팅]
올해로 4회째...본선진출자가 확정되었다.
김채영, 김다영,김혜민,김주아, 오유진(5명)
여기에 전기시드 우승자 최정, 준우승자 김은지 
와일드카드로 스미레선수~

8명의 여전사

6/11(화) 김채영vs.김다영, 자매대결로 포문을 열었다. 김채영 승리 
12(수) 김은지vs.김혜민, 김은지 승리 
13(목) 최정vs.오유진, 최정 승리 
14(금) 김주아vs. 스미레, 스미레 승리 

승자 4강전은 신구 대결이다.  
김채영 vs. 김은지, 김은지 승리 
7.5(금) 최정 vs. 스미레, 최정 불계승  최정이 돌아왔다!

[패자전]
7/10(수) 김혜민의 실수로 대마가 횡사하며 김다영이 이겼다.  
7/11(목) vs.김주아, 오유진 선수의 여유있는 승리였다. 

7/15(월) vs.김다영, 스미레가 중반 힘으로 눌렀다. 
7/16(화) 김채영은 오유진에겐 강하다~최근 5연승 

 

7월19일(목)  승자 결승 김은지 vs. 최정 
최근 김은지 8승2패, 최정 2승8패
중국 황룡사배 치욕의 6연패 당하고 최악
IBK배 8강에서 신예 이슬주에게 무너졌다.   

하지만 
최정은 살아있다!
그간 우려를 씻어내는 통쾌한 승리였다.  

 

초반엔 김은지의 우세...

 

중반 싸움에서 승기를 잡았다. 

승리후 인터뷰에서 여기서 죽을 각오로 두었다고...ㅎㅎ

7월22일(월) 패자조 준결승 스미레 vs. 김채영(4위)
스미레가 또 이겼다. 최근 2연승이다.
정말이지 무서운 상승기세다. 

 

와일드카드로 진출한 스미레...
패자조 결승까지 올랐지만 김은지에게 패했다. 
현재 최정,김은지에 이어 랭킹 3위 정도될 듯하다. 

7월29일(월) 패자조 결승 김은지가 스미레에게 백으로 1.5집을 남겼다.  
초반 호각지세에서 김은지가 끝까지 우세를 지켜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