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연말이면 교수들이 교수들이 ‘올해의 사자성어’를 뽑는다. 그런데 올해는 ‘묘서동처(猫鼠同處)’를 꼽았다. 고양이 ‘묘’, 쥐 ‘서’, 함께할 ‘동’, 있을 ‘처’라는 네 자로, ‘고양이와 쥐가 함께 있다. 도둑 잡을 사람이 도둑과 한패가 됐다'는 뜻이다.
묘서동처를 추천한 최재목 영남대 철학과 교수에 따르면, 묘서동처는 중국 후진 때 당나라 역사를 서술한 <구당서(舊唐書)>와 이를 북송 때 수정한 <신당서(新唐書)>에 ‘고양이와 쥐가 같은 젖을 빤다’는 ‘묘서동유’(猫鼠同乳)라는 말과 함께 나온다. 보통 쥐는 굴을 파고 들어와 곡식을 훔쳐 먹고, 고양이는 쥐를 잡는다. 이렇게 사이가 원수이면서도 위아래 벼슬아치들이 부정 결탁하여 나쁜 짓을 함께 저지르는 것을 지적한 말이다.
우리 사회가 딱 그렇다. 정치 지도자들은 여야를 막론하고 겉모습만 다를 뿐, 공리보다는 사욕에 챙기고 여야, 진보와 보수 구별 없이 기득권층의 야합이다. 사법부도 범죄자를 잡아야 할 사람들이 범죄자를 두둔하고 옹호·변호하고있다.
내년 대선을 보자. 형수에게 쌍욕을 해대는 후보, 현정권 검찰총장 출신이 야당 대선후보라니 참 웃지못할 촌극같다. 그래도 둘중 누가 덜 썩었는가 보자구? 늘 그래왔듯 우리에겐 입법행정사법부가 한통속으로 권력싸움에 놀아난다.
2위 인곤마핍(人困馬乏): ‘사람과 말이 모두 지쳐 피곤하다’는 뜻이다. ‘삼국지’에서 유비가 기나긴 피난길에 ‘날마다 도망치다 보니 사람이나 말이나 기진맥진했다’고 한 이야기에서 따왔다. 정말이지 우리는 정치권에, 코로나에 모두 지쳐있다.
2020년에는 아시타비(我是他非)였었다. 我나 아 是올을 시 他다를 타 非아닐비 나는 올고 남은 그르다. 조국사태에서 빗어진 내로남불 사회였다.
'學而時習 >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켈트족의 기도문 (0) | 2022.02.09 |
---|---|
진천 조명희문학관&「진유청림」출판 (0) | 2021.12.17 |
추상표현주의, 이병수의 그림과 詩 (0) | 2021.11.30 |
옥산 '아르마리' 북카페 (0) | 2021.11.29 |
구인회 가을소풍, 팔봉서원&괴산 충민사 (0) | 2021.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