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學而時習/내 문인화

호(號)는 어떻게 지어졌을까?

by 박카쓰 2017. 2. 15.

호(號)에 대해 알아봅니다.


號는 사람이 본이름이나 자() 외에 허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지은 이름으로

호는 2종 이상의 이름을 가지는 풍속, 또는 본 이름 부르는 것을 피하는 풍속으로 삼국시대부터 시작되었다.

이러한 호는 자신이 짓기도 하고, 남이 지어 부르기도 하였다. 오늘날도 마찬가지다.






호는 아호()와 당호()로 나누기도 한다.

아호는 흔히 시·문·서·화의 작가들이 사용하는 우아한 호라는 뜻으로 일컬음이요,

당호는 본래 집()의 호를 말함이나,

그 집의 주인을 일컫게도 되어 아호와 같이 쓰이기도 한다.


호를 짓는 기준에 대해 이규보()는 그의 ≪백운거사어록 ≫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 바 있다.

“거처하는 바를 따라서 호로 한 사람도 있고, 그가 간직한 것을 근거로 하거나,

혹은 얻은 바의 실상을 호로 한 사람들도 있었다.” 여기서 세 가지 기준을 볼 수 있는데,


신용호()는 이 세 가지 기준에, 

“자신이 목표로 삼아 도달한 경지나 지향하고자 하는 목표와 의지에 따라서 호를 짓기도 한다.”

는 한 가지를 더하여, 네 가지 기준으로 들어 말한 바 있다.


① 소처이호():생활하고 있거나 인연이 있는 처소로 호를 삼는 것,

② 소지이호():이루어진 뜻이나 이루고자 하는 뜻으로 호를 삼는 것,

③ 소우이호():처한 환경이나 여건을 호로 삼는 것,

④ 소축이호():간직하고 있는 것 가운데 특히 좋아하는 것으로 호를 삼는 것 등의 네 가지가 곧 그것이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스스로 호를 짓기도 하고, 부모나 스승·친구가 호를 지어주기도 하여, 사람에 따라서는 한 사람이 여러 가지의 호를 쓰기도 한다. 이미 고려시대의 이규보는 여섯 개의 호를 갖기도 하였다. ‘백운거사’·‘삼혹호선생()’·‘지지헌()’·‘사가재()’·‘자오당()’·‘남헌장로()’ 등이다. 우리 나라에서 가장 많은 수의 다양한 호를 사용한 이는 김정희()이다. 오제봉()이 조사, 수집한 ≪추사선생아호집 ≫에 의하면 무려 503개나 된다.


이렇듯 많은 김정희의 호에 대하여 오제봉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추사 김정희선생은 변화무쌍한 선생의 서체()만큼 아호의 변화도 무진하게 표일하면서도 각 아호에서 풍기는 맛이 다양하다. 그때그때 처한 상황이나 정서·취향 따위를 은연중에 드러낸 것이다. 이를테면 귀양살이의 서러움을 노구()라 표현하였고, 물가 생활에서 해당()·금강(), 노장의 사상 속에서는 선객(), 공자를 생각하며 동국유생(), 불타를 생각하며 불노()·아미타()·호경금강()·산제거사()·고경산방() 등을 썼으며, 선정() 속에 노닐 때는 방외도인()·무용도인()·설우도인() 등 생각나는 대로 구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