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rpe Diem/세상정담

나로호 발사하던 날...

by 박카쓰 2013. 1. 31.

2002년 시작된 나로호 프로젝트~

두 차례의 발사 실패, 열번의 발사 연기등 우여곡절도 많았지만 드뎌 2013년 1월 30일 발사에 성공했다.

물론 러시아의 힘을 빌렸다고 하지만 우리의 기술도 상당 접목되어 있어

앞으로 우리나라 우주개발에 청신호가 켜진 셈이다. . 

 

이웃나라 일본 그리고 중국이 우주 개발이 앞서 나가고 있으며

북한도 미사일 로켓으로 지난 12월 은하호를 발사한 바 있다.

이제라도 우리나라가 체면(?)을 세웠고

세계적으로는 11번째로 우주선을 쏘아올린 나라가 되었단다. 

 

그간 경제적으로 부강해졌다고 하지만 우주개발에는 열악했고 

여러번의 실패에 극심한 스트레스 겪은 많은 과학자들의 노력에 감사드리고 

앞으로도 우리 대한민국이 우주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나로호 발사의 의미...그리고 앞으로의 전망

From 장영근 < 한국항공대 교수·항공우주기계공학>

 

 

지난 30일 한국 최초의 우주발사체인 나로호는 우여곡절 끝에 나로과학위성을 궤도에 올려놓는 데 성공했다. 북미항공우주방공사령부(NORAD)는 발사 후 4시간 만에 나로과학위성을 찾아내 궤도정보를 인터넷에 공시했다. 이 궤도정보를 기반으로 31일 새벽 3시 27분에 대전 지상국은 나로과학위성과 성공적인 교신을 했다. 위성을 목표궤도에 근접하게 진입시킨 발사 성공이었다.

2002년에 시작된 나로호 개발사업
은 그동안 두 번의 발사 실패 및 10차례의 발사 연기 등으로 논란도 많았지만 10년 만에 유종의 미를 거두게 됐다. 비록 1단 액체로켓엔진을 러시아에서 들여왔다는 태생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나로호 발사 성공은 여러 가지 의미를 갖는다. 기술적으로는 우리가 개발한 2단 로켓 및 페어링, 위성, 각종 전자장비 등으로 구성된 상단에 대한 비행검증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는 것이다. 이들 상단개발 기술은 후속 한국형 발사체 개발사업에도 직접 활용된다. 다수의 시행착오를 통한 경험적인 지식도 상당히 축적했다.

작년 12월 12일 북한은 은하 3호 로켓을 기습적으로 발사했다. 우리가 나로호 3차 발사준비 중에 기술적 오류를 겪고 있는 동안 의도적으로 발사한 것이다. 과학기술 수준과 국가 재정상태가 압도적이었던 우리에게는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이번 나로호 발사 성공으로 우리 국민들이 최소한의 자존심과 자긍심을 갖도록 한 것은 중요한 일이다. 개발에 참여한 로켓개발 엔지니어들에게는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불어넣는 계기가 됐다.

이번 발사 성공으로 우리 언론은 세계에서 11번째로 ‘스페이스 클럽’에 가입했다고 야단법석이다. 스페이스 클럽이라는 용어는 상징적인 의미에 불과하다. 우주개발의 3요소인 위성, 발사체 및 발사장에 대한 독립적 기술을 확보한 우주강국이라는 의미이다. 외형적 정의를 기준으로 하면 2009년 위성 발사를 성공한 이란과 작년 12월에 은하 3호 로켓을 발사한 북한도 이런 스페이스 클럽에 가입한 셈이다. 이 시점에서 과연 우리는 이런 수식어에 어울리는 우주기술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지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우리에게는 이런 수식어보다는 누구나 인정하는 실질적인 우주기술 능력을 갖춘 ‘우주강국’의 타이틀이 필요하다.

이웃나라
중국과 일본은 우주개발에서 배울 만한 교훈을 던져주고 있다. 중국은 20여년 전부터 군 우주기술 확보 차원에서 우주개발사업에 집중 투자해 명실상부한 우주강국이 됐다. 2000년대 초반까지도 중국의 우주기술은 허접스럽고 정밀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했다. 현재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유인선을 우주로 보내고 귀환시켰을 정도의 우주기술 능력을 확보했다. 일본은 H-2A/B를 포함한 대형 우주발사체와 군사위성, 행성탐사위성 등의 개발을 통해 조용히 우주강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민간 우주개발을 통해 당장이라도 대륙간탄도미사일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능력을 확보한 것이다.

나로호 발사를 한번 성공했다고 저절로 우주강국이 되는 것은 아니다. 실질적인 우주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모든 면에서 우주개발 인프라가 구축돼야 한다. 먼저 우주개발을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필요하다. 일반인은 우주개발이 경제성은 없으면서 엄청난 세금만 잡아먹는 기술쯤으로 치부한다. 우주기술이 다른 과학기술에 미치는 파급효과와 군사기술로의 전이를 통한 국가안보에의 기여는 생각 못한다.

필자는 지난 20년 이상의 우주개발 경험을 통해 국가우주개발에 대한 국가 최고지도자의 관심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느낀다.
미국, 프랑스, 중국, 일본 등은 최고지도자의 관심 아래 우주기술을 발전시켰다. 이런 상황 아래에서만이 우주개발을 총괄하는 정부의 조직체계도 구축되고 지속적인 예산 확보도 가능하다. 지금처럼 연구개발 예산으로 경제성이 부족한 우주개발을 지원한다면 지속성을 보장할 수 없다. 또 ‘빨리빨리’식의 우주개발은 득보다 실이 많다. ‘우주강국’의 명성은 하루아침에 얻어질 수 없음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