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學而時習/문학동네

다독다讀, 이정록 詩人

by 박카쓰 2022. 8. 11.

김은숙 시인 미디어카페 다독다독...
8월11일(목) 오후5시 

그럴때가 있다 - 이정록 시인

 

그럴 때가 있다 - 이정록


매끄러운 길인데
핸들이 덜컹할 때가 있다
지구 반대편에서 누군가
눈물로 제 발등을 찍을 때다.

탁자에 놓인 소주잔이
지 혼자 떨릴 때가 있다.
총소리 잦아든 어딘가에서
오래도록 노을을 바라보던 젖은 눈망울이
어린 입술을 깨물며 가슴을 칠 때다.

그럴 때가 있다.

한숨 주머니를 터트리려고
가슴을 치다가, 가만 돌주먹을 내려놓는다.
어딘가에서 사나흘 만에 젖을 빨다가
막 잠이 든 아기가 깨어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촛불이 깜박,
까만 심지를 보여주었다가
다시 살아날 때가 있다.
순간, 아득히 먼 곳에
불씨를 건네주고 온 거다.



ㅡ 시집『그럴 때가 있다』(창작과비평사, 2022)

 

꼬마 선생님

수업을 마치고 화장실에 들렀는데

문 뒤로 아이가 숨는 게 보였습니다.

고둥처럼 눈물이 그렁그렁했습니다.

조개 캐러 나간 할머니가 곧 오실 거라고 했습니다.

아이가 꼭 쥐고 있던 토막 연필을 내게 주었습니다.

무지갯빛 지우개가 가까스로 매달려 있었습니다.

외로움과 막막함과 슬픔이 물어뜯겨 있었습니다.

―제가 가진 것 중에 가장 새것이에요.

―고맙다. 나에게 주는 거니?

―이걸로 재미난 글을 써주세요.

눈보라 속에서 아이의 하나뿐인 가족이

함박눈을 지고 들어오고 있었습니다.

외톨이 늙은 개가 운동장을 질러 달려갔습니다.

선생님, 잘 쓰겠습니다.

나는 갓 등단한 어린 작가가 되어

화장실에 쪼그리고 앉아 고드름처럼 울었습니다

「꼬마 선생님」 中

 

암만 가려워도

손이 닿지 않는 곳이 있다

 

첫애 업었을 때

아기 입술이 닿았던 곳이다

새근새근 새털 같은 콧김으로

내 젖은 흙을 말리던 곳이다

 

아기가 자라

어딘가에서 홧김을 내뿜을 때마다

등짝은 오그라드는 것이다

 

까치발을 딛고

가슴을 쓸어내린다

손차양하고 멀리 내다본다

 

오래도록 햇살을 업어보지만

얼음이 잡히는 북쪽 언덕이 있다

언 입술 오물거리는

약숟가락만 한 응달이 있다

 

(이정록 시집 <그럴 때가 있다>, 창비, 2002)

 

 

장어

 

어머니는

눈곱만큼이라도 맘에 들면

장허다! 참 장허다! 머릴 쓰다듬었다.

나는 정말 한 마리

힘센 장어가 된 듯했다.

털끝만큼이라도 성에 차지 않을 때도

장허다! 참 장허다! 돌아앉았다.

나는 정말 먼 바다

길 잃은 어린 장어 같았다.

어른이 된 나는 언제

꿈틀꿈틀 장어가 되는가.

미끈둥한 시 한 편 쓰면

나는 장어구이 집에 간다.

부끄러워 고개 들 수 없을 때도

장허다! 소주잔에 눈물 빠트리러

꼬리치는 장어구이 집에 간다.

먼바다 끄트머리 우뚝한 섬,

어머니에게 바닷길을 여쭈러 간다.

어머니는 언제나

참 장허시다!

 

 

진달래꽃

 

그럭저럭 사는 거지.

저 절벽 돌부처가

망치 소리를 다 쟁여두었다면

어찌 요리 곱게 웃을 수 있겠어.

그냥저냥 살다 보면 저렇게

머리에 진달래꽃도 피겠지.

 

 

[이전 포스팅 2022.1.11]
고딩친구들과의 문학사랑방 '구인회' 카톡방에 이런 시가 떠올랐다.

시(詩)

     <정 말>

                      이 정 록/충남고교 교사

“참 빨랐지 그 양반!”
신랑이라고 거드는 게 아녀 
그 양반 빠른 거야 
근동 사람들이 다 알았지 
면 내에서 
오토바이도 그중 먼저 샀고 
달리기를 잘해서 
군수한테 송아지도 탔으니까 
죽는 거까지 
남보다 앞선 게 섭섭하지만 
어쩔 거여 
박복한 팔자 탓이지
읍내 양지다방에서 
맞선 보던 날 
나는 사카린도 안 넣었는데 
그 뜨건 커피를 
단숨에 털어 넣더라니까 
그러더니 오토바이에 
시동부터 걸더라고 
번갯불에 
도롱이 말릴 양반이었지 
겨우 이름 석 자 
물어 본 게 단데 말이여 
그래서 
저 남자가 날 퇴짜 놓는구나 
생각하고 있는데 
어서 타라는 거여 
망설이고 있으니까 
번쩍 안아서 태우더라고 
뱃살이며 가슴이 
출렁출렁하데 
처녀 적에도 
내가 좀 푸짐했거든 
월산 뒷덜미로 몰고 가더니 
밀밭에다 오토바이를 
팽개치더라고 
자갈길에 젖가슴이 
치근대니까 
피가 쏠렸던가 봐 
치마가 훌러덩 뒤집혀 
얼굴을 덮더라고 
그 순간 이게 이년의 
운명이구나 싶었지 
부끄러워서 
두 눈을 꼭 감고 있었는데 
정말 빠르더라고 
외마디 비명 한번에 
끝장이 났다니까 
꽃무늬 치마를 입은 게 
다행이었지 
풀물 핏물 찍어내며 
훌쩍거리고 있으니까 
먼 산에다 대고 그러는 거여 
시집가려고 나온 거 아녔냐고 
눈물 닦고 훔쳐보니까 
불한당 같은 불곰 한 마리가 
밀 이삭만 씹고 있더라니까 
내 인생을 통째로 넘어뜨린 
그 어마어마한 역사가 
한순간에 끝장나다니 
하늘이 
밀밭처럼 노랗더라니까 
내 매무새가 
꼭 누룩에 빠진 흰 쌀밥 같았지
얼마나 빨랐던지 
그때까지도 
오토바이 뒷바퀴가 
하늘을 향해 따그르르 
돌아가고 있더라니까 
죽을 때까지 
그 버릇 못 고치고 갔어 
덕분에 
그 양반 바람 한번 안 피웠어 
가정용도 안 되는 걸 
어디 가서 
상업적으로 써먹겠어 
정말 날랜 양반이었지...

 

박카스가 댓글을 달았다. "외설아니야?"

이종*시인이 소개한다. "이정록 시인은 다작을 하면서도 시를 읽도록 재미있게 쓰는 시인으로 한문교사인데 말솜씨도 기막히게 좋아 마치 코미디언 보는듯 해요."

 

 

그래서 인터넷을 찾아보았다. 어라? 박카스랑 명문사대 동문이네요. ㅎㅎ

* 1964년 충남 홍성 홍동면 대영리에서 출생.

* 공주사범대학 한문교육과 졸업.

* 199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 〈혈거시대〉가 당선되어 작품활동 시작.

* 시집으로 『벌레의 집은 아늑하다』(문학동네, 1994),『풋사과의 주름살』(문학과지성사, 1996)

  『동심언어사전』,  『시인의 서랍』

* 박재상문학상, 김수영문학상, 김달진문학상 수상.

 

 

그의 시를 읽어보았다. 

 

별/이정록

 

네모 안에 동그라미를 넣는 방법은?

이슬이 잘 알지.

아침마다 이슬은

거미줄 네모 칸에 들어갔다가 나오니까.

 

동그라미 안에 네모를 넣는 방법은?

그건 모두가 잘 알지.

둥근 마음에 미움을 품는 거지.

뾰족한 모서리는 빠져나가지도 않지.

 

그럼 동그라미 안에 별을 넣는 방법은?

그건 네가 잘 알지.

네 동그란 눈망울에는

늘 별이 떠 있으니까.

 

 

 

 

 

성행위/이정록

 

꿈을 적어보라고 했다
머리를 긁적이다가
쑥스러워서 한 손으로 종이를 가렸다



아버지가 다짜고짜
머리통을 쥐어박았다
뭘 잘했다고 식식거리냐고 화를 냈다
머리를 문지르려고 팔을 들어 올리자
나의 당찬 미래가 드러났다


성장하는 나
행동하는 양심
위로할 줄 아는 어른

 

 

 

시-어머니학교 10/이정록

 

시란 거 말이다

내가 볼 때, 그거

업은 애기 삼 년 찾기다.

업은 애기를 왜 삼 년이나 찾는지

아냐? 세 살은 돼야 엄마를 똑바로 찾거든.

농사도 삼 년은 부쳐야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며

이 빠진 옥수수 잠꼬대 소리가 들리지.

시 깜냥이 어깨너머에 납작하니 숨어 있다가

어느 날 너를 엄마! 하고 부를 때까지

그냥 모르쇠하며 같이 사는 겨.

세쌍둥이 네쌍둥이 한꺼번에 둘러업고

젖 준 놈 또 주고 굶긴 놈 또 굶기지 말고.

시답잖았던 녀석이 엄마! 잇몸 내보이며

웃을 때까지.

 

 

    이 웃 
            

아이들이 공부하고 있으니 
두부장수는 종을 흔들지 마시고 
행상트럭은 앰프를 꺼주시기 바랍니다 
크게 써서 학교 담장에 붙이는 소사아저씨 뒤통수에다가 
담장 옆에 사는 아줌마 아저씨들이 한마디씩 날린다 
공일날 운동장 한번 빌려준 적 있어 
삼백육십오일 스물네 시간 울어대는 
학교 종 한번 꺼달란 적 있어 
학교 옆에 사는 사람은 두부도 먹지 말란 거여 
꽁치며 갈치며 비린 것 한번 맛볼라치면 
버스 타고 장에까지 갔다오란 거여 
차비는 학교에서 내줄 거여. 도대체 
생명이 뭔지나 알고 분필 잡는 거여 
호박넝쿨 몇개 얹었더니 애들 퇴학시키듯 다 잘라버린 것들이 
말 못하는 담벼락 가슴팍에 못질까지 하는 거여 
애들이 뭘 보고 배울 거여. 이웃이 뭔지 
이따위로 가르쳐도 된다는 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