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의 결= 언어의 결
어떻게 언어의 결을 섬세하게 풀 수 있는가?
언어로 생각하고 언어로 느낀다.
언어는 사고의 어머니이고 사고의 모태이다.
언어가 먼저이고 생각이나 느낌이 나중에 온다.
막연한 느낌으로는 시도 음악도 만들어 질 수 없다.
언어의 소낙비가 되어 쏟아져야 작품이 완성된다.
문학적 발상은 비상식적 사유에서 나온다.
시적 언어(Diction); 비정상어법이다.
역발상해야...언어가 달라져야...
언어를 비틀어봐야 평소에 보이지않던 것이 보인다.
은유, 상징, 역설, 아이러니, 댓귀, 반복 등
상징은 많은 지식으로 쌓아지고
나머지는 모두 훈련으로 쌓여진다.
예) 나무, 바다에 관한 비유 100개 찾아와라!
이런 어훈련을 통해서 사고의 결을 섬세하게 만들수 있다.
빈 콜라병
신동집(申瞳集) 1967
빈 콜라병에는 가득히
빈 콜라가 들어 있다.
넘어진 빈 콜라 병에는
가득히 빈 콜라가 들어 있다.
빈 콜라병에는 한 자락
밝은 흰 구름이 비치고
이 병을 마신 사람의
흔적은 아무데도 보이지 않는다.
넘어진 빈 콜라 병은
빈 自己를 생각고 있듯이.
불고가는 가을 바람이
넘어진 빈 콜라 병을 달래는가.
스스로 풀어내는 음악이
빈 콜라 병을 다스리고 있다.
'學而時習 > 문학동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終講 "의문의 꼭지를 놓지말고 경계로 나아가라"(18.12/13,목) (0) | 2018.12.13 |
---|---|
詩人 권희돈님의 두번째 詩集 출판파티를 가졌지요(18.11/29,목) (0) | 2018.11.30 |
"글쓰는 행위를 통해 나를 끊임없이 상상하고 사유해라"(18.11/15,수) (0) | 2018.11.16 |
수필은 청자연적이다-피천득 (0) | 2018.10.20 |
좋은 글이란?- 임교수님의 마지막수업(18.10/18,목) (0) | 2018.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