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번째 시간으로 서울로 현장답사를 다녀오네.
궁궐은 우리 역사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친 사건이일어난 역사적 장소이자 왕과 왕실 사람들이 생활하며 희로애락을 담아낸 삶의 공간이다. 궁궐이 전하는 역사, 인물, 건축, 자연 등 숱한이야기 속에는 우리 선조들이 오랜 역사와 삶 속에서 터득해낸 지혜와 슬기로움이 담겨져있다.
덕수궁은 서울에 있는 옛 궁궐의 이름이다. 이 궁궐은 원래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 조선 성종 임금이 그의 형 월산 대군에게 살림집으로 지어 준 것이다. 그 뒤 1592년에 일어난 임진왜란으로 모든 궁궐이 불타고 파괴되어 선조 임금이 이 집을 임시 궁궐로 사용하면서 이름을 경운궁이라 했다. 다음 임금인 광해군이 창덕궁을 새로 짓고 궁궐을 옮긴 뒤로 오랫동안 비어 있다가, 1897년에 고종 임금이 경운궁을 궁궐로 사용하며 정전을 중화전이라 하고 대안문을 대한문이라 고쳐 부르게 했다. 대한문은 덕수궁의 정문이며, 중화전은 그 뒤 1904년에 불타 새로 세웠다.
고딩친구들 만납니다.
바우님이 사진을 담아줍니다.
중화전 서쪽에 있는 석조전은 1900년에 착공하여 11년 만에 준공한 서양식 건물로, 정면에 둥근 기둥이 늘어선 르네상스식의 화려한 석조 건물이다. 그러나 이 건물이 준공되기 전인 1907년, 순종 임금이 궁궐을 창덕궁으로 옮기고 경운궁을 덕수궁이라 부르게 했다. 덕수궁에는 1938년에 세운 또 하나의 서양식 건물이 있다. 이 건물은 1986년까지 석조전과 함께 우리나라의 국립 미술관이었다. 뜰에는 세종 대왕의 동상이 있으며, 초여름에 피는 모란이 특히 아름답다. 덕수궁은 사적 제124호로 지정되어 있다.
한 식당에서 점심을 먹고 창경궁으로 옮겼다.
본래 세종이 상왕으로 물러난 태종의 거처를 마련하기 위해 지은 수강궁이었다. 그후 1483년 수강궁 자리에 별궁인 창경궁을 건립했다.
임진왜란 때 화재로 소실된 것을 1616년 다시 세웠으며, 1624년 이괄의 난으로 소실된 많은 전각들이 1633년에 중건되었다. 1656년에 요화당·난향각·취요헌·계월각 등 4개의 전각을 지었다.
1909년 일제가 궁 안에 동물원과 식물원을 만들었으며, 1911년에는 박물관을 짓고 창경원으로 격을 낮추어 불렀다. 1984년 일제가 철거했던 문정전과 월랑 등을 복원하고 정비하면서 다시 이름을 창경궁으로 환원했다.
이 궁궐의 전체적인 배치는 창덕궁처럼 지형의 높고 낮음을 그대로 두고 꼭 필요한 곳만을 골라 집터를 잡고 정원을 꾸민 것이 특징이다. 사적 제123호로 지정되었다.
이제 우리는 창경궁에서 창덕궁으로 간다.
창덕궁...
사적 제122호. 조선시대 5대 궁궐 가운데 가장 자연스러운 모습을 하고 있다.
1405년(태종 5)에 지어져 광해군 때부터 정궁으로 사용되었다.
화재로 몇 차례 중건과정을 거쳤고 일제강점기에 변형을 거쳤다.
창경궁과 이어져 있고, 뒤쪽에 후원이 조성되어 있다.
원래 정문인 돈화문이고 궁궐 내 금천 위에 금천교가 놓여 있다.
정전의 정문인 인정문은 양쪽의 월랑이 'ㄷ'로 감싸고 있다.
마당 안에는 임금이 걷는 길이 있고, 북쪽 끝 중앙 월대 위에는 인정전이 자리한다.
인정전의 동북쪽에는 편전인 선정전이 위치해 있다.
창덕궁에 있는 인정전·돈화문·인정문·선정전·희정당·대조전·선원전 등은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창덕궁의 북쪽 터에는 금원이라 부르던 후원이 있다.
다음엔 꼭 들려야겠네요.
오후 3시반 벌써 끝내려한다.
날씨도 무척 덥고
수강생들이 고령(?)이고
입력도 너무나 많아 뭐가 뭔지...
강사님이 강의를 마치며 말씀하신다.
"우리 궁궐의 모습이 아침 다르고 점심 다르고 저녁달라요.
비오는 날 다르고 눈 오는날 달라요.
눈이 내린 날 저 기왓장에 쌓인 궁궐의 모습은 정말로 아름다워요."
그도 그럴 것이
내가 자주 오르는 상당산성이지만 그때 그때마다 감회가 다르듯이
우리 궁궐도 자주 찾아와 눈여겨 보고
책으로 강의로 더 공부해야 그 아름다운 모습을 제대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조선시대 5대 궁궐이라함은?
현재 남아 있는 궁궐은 정궁인 경복궁
일종의 별궁이었으나 실제로는 조선의 정궁 역할을 한 창덕궁
그 옆에 있던 창경궁
임진왜란 때 임시 궁궐의 역할을 담당하면서 광해군 때 정식 궁궐이 된 덕수궁
광해군 때 지어진 별궁으로 서궁으로 불리운 경희궁
이상의 5개를 조선의 5대궁이라 부른다.
궁궐의 외조는 궁궐 안에 있던 관청이 자리하는 공간이고,
치조는 신하들의 조하를 받고 집무를 하던 공간으로 궁궐의 중심인 정전이 있는 곳이다.
정전은 주위를 회랑으로 둘러 권위를 강조했다.
연조는 임금의 침식과 휴식을 위한 개인생활공간이다.
이 영역에는 임금과 왕비, 왕대비의 침전이 자리하고,
그 옆에 궁궐 안에서 필요한 제반시설과 관계자들의 생활시설이 있다.
왕세자의 거처는 주로 동쪽에 자리하여 동궁이라 부른다.
'學而時習 > 역사저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물관연수]러시아 궁전, 크렘린& St. Peterburgs城(19.7/5,금) (0) | 2019.07.05 |
---|---|
루브르궁과 베르사유 궁을 중심으로 본 프랑스 왕궁의 생활(19.6/28,금) (0) | 2019.06.29 |
[박물관연수]인간 정조를 말하다&사도세자 사사(19.4/19,26) (0) | 2019.04.19 |
남원을 돌아보며 청주를 다시 발견한다! (0) | 2018.09.30 |
청주문화원 역사문화탐방 '청주를 날다'(18.4/28,토) (0) | 2018.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