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8교시 마지막 시간 ! 방과후교육으로
자진해서 한시간 더 공부하러온 아이들 17명과
미국의 명절 Halloween을 공부하면서
내가 또한번 선생님하길 참 잘했다는 느낌을 받았다.
4명씩 조별로 편성하여 조별 활동을 하는데
아이들이 정말로 진지하고 서로 이기려고 어찌나 열심히 하는지...
그들의 번뜩이고 초롱초롱한 눈빛 속에서서
가슴뿌듯한 선생님으로서의 보람을 느껴보는 시간이었다.
그래...이게 바로 행복이야.
얼마전 화나고 기분나빴던 지난 일들...자꾸 들추어 내지지 말고
괜시리 일어나지도 않은 일들... 미리부터 근심걱정 떨쳐버리고
나는 지금 참으로 행복하다고 느끼는 순간 나는 정말로 행복한 거야.
어찌나 마음에 와닿은 글인지
두고두고 새겨두고 살 일이다.
행복은 마음속에서 자란다
자신의 삶에 만족을 느낀다는 것은 참으로 행복한 일이다.
즐거운 마음으로 이웃을 만날 수 있다는 것
역시 행복한 일임에 틀림없을 것이다.
생각해 보면 스스로 불행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나
또는 스스로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나
이 세상은 하나이다.
그러기에 행복은 자신의 삶 속에서 발견하는 것이요
느끼는 것이 아닐까 싶다.
그래서 행복도 하나의 기술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높은 학력을 가졌으면서도 불행하게 사는 사람이 있고,
가진 것이 많은 부자이면서도
불행을 호소하는 사람을 우리는 얼마든지 볼 수 있기에
만족이나 행복은 반드시 소유에 비례하지 않으며,
지성이 그것을 보장해 주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시인 백낙찬은 "인생을 부귀로서 낙(樂)을 삼는다면
좀처럼 낙을 누리지 못한다"라고 하였다.
만족은 자신의 내면에서 찾아지는 것이지
밖으로부터 오는 것은 아니다는 뜻일 것이다.
"만족을 아는 사람은 비록 가난해도 부자로 살 수 있고,
만족을 모르는 사람은 많이 가졌어도 가난하다"
자신의 인생을 불행하게 느끼느냐 행복하게 느끼느냐는
소유의 문제가 아니라 지혜의 문제인 것이다.
슬기로운 사람은 남들이 불행하다고 생각하는 조건속에서도
만족함을 발견해 내고,
어리석은 사람은 남들이 부러워하는 조건속에서도
눈물 흘린다.
행복하려거든 감사함에 눈 떠야 한다.
내가 살아 있는 사실에 감사하고,
내가 사랑하는 가족이 있어서 감사하고,
건강함에 감사하다.
그래서 옛 성인은 "존경과 겸손, 만족과 감사
그리고 때때로 진리를 듣는 것은 최상의 행복이다"라고 하셨다.
존경할 스승이 있고, 섬겨야할 어른이 있으며
격의 없이 대화할 수 있는 친구나 이웃이 있으니
얼마나 좋은 일일 것인가.
남들이 보잘 것 없다고 여길지라도
내가 열심히 할 수 있는 일을 갖는다는 것 또한 행복한 일이다.
아무것도 할 일이 없는 사람은 따분한 인생을 산다.
할 일이 없어 누워있는 사람보다는
거리에 나가 남이 버린 휴지라도 줍는 일을 하는 사람이
몇 배의 행복을 누리는 사람이다.
기쁨은 반드시 커다란 일에서만 오는 것은 아니다.
남의 평가에 신경 쓰지 말고 내가 소중하게 여기고 보람을 찾으면 된다.
비록 작은 일이라도 거짓 없이 진실로 대할 때 행복한 것이지
아무리 큰일이라도 위선과 거짓이 들어 있으면
오히려 불안을 안겨주고 불행을 불러오게 된다.
그래서 작은 것을 소중하게 여기고,
명성보다는 진실을 사랑할 줄 아는 사람이 행복한 사람이다.
지나간 일에 매달려 잠 못 이루지 말고
잊을 것은 빨리 잊도록 해야 한다.
어떤 사람이 한 성자에게 "당신은 가진 것이라곤 없는데
어찌 그렇게도 밝게 살 수 있느냐"고 여쭈었다.
그 때 그 성자는 대답하셨다.
"지나간 일에 슬퍼하지 않고,
아직 오지 않은 일에 근심하지 않는다.
오직 지금 당장 일에만 전념한다.
어리석은 사람은 아직 오지 않은 미래를 가지고 근심 걱정하고,
이미 지나간 일에 매달려 슬퍼한다."
그렇다. 공연한 일에 매달려 근심 걱정하지 않고
잊어야 할 것은 빨리 잊어버려 마음을 비우는 것은 행복의 길이다.
슬펐던 일을 자꾸 떠올려 우울한 마음에 사로잡히지 말고,
화나게 했던 일, 기분 나빴던 일을 회상하여 분해하는 것은
현명한 태도가 못된다. 체념도 하나의 슬기로움인 것이다.
항상 사물을 긍정적으로 보고 기쁜 마음을 가지는 것은
자신의 삶을 밝게 만들어 준다.
다시 한번 행복은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마음속에서
더욱 튼튼하게 자란다는 것을 우리 모두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
좋은글 中에서
'學而時習 > 문학동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 가을학기엔 수필창작반에 들었지요 (0) | 2016.09.09 |
---|---|
어항속의 금붕어 (0) | 2015.11.24 |
[시]첫눈 오는 날 만나자 - 정호승 (0) | 2014.11.10 |
살다보면... (0) | 2014.10.30 |
라이너 마리아 릴케 '가을날'을 읊조리며 (0) | 2014.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