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學而時習/인문학

초나라 굴원의 어부사

by 박카쓰 2024. 2. 27.

굴원은 누구?

전국시대() 초()나라의 정치가이자 시인으로, 이름은 평()이고 자가 원()이다. 초()나라 회왕() 시기에 좌도(), 삼려대부() 등을 역임하면서 제()나라와 연합하여 진()나라에 대항할 것을 주장하였다. 경양왕() 시기에 반대파의 모함을 받아 쫓겨났는데, <어부사(漁父詞)>는 이때에 지은 글이다. 이외에도 <이소(離騷)>, <구장()> 등의 초사() 작품이 있다.

 

작품 설명

굴원이 조정에서 쫓겨난 뒤 강가에서 어부()를 만나 대화를 나누면서 자신의 의지를 밝힌 내용이다. 도를 지닌 채 은둔해 살고 있는 어부는 굴원에게 세상의 변화에 따라 더불어 살 것을 권하였다. 이에 굴원은 자신의 고결함을 더럽힐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히고, 결국 장사()의 멱라수()에 투신하여 죽었다.

 

작품 내용

 하고 할새  하고  라. , 1)아. 오?  이어늘 하고 어늘 이라, 호라.  하나니,  이어든 2)하며 어든 3)4)5)오.  하여 오?

굴원이 쫓겨난 뒤 강가에서 서성이고 늪가에서 거닐며 시를 읊조릴 적에, 안색이 초췌하고 몸은 말라있었다. 어부가 그를 보고 묻기를, “그대는 삼려대부()가 아니오. 어쩌다가 여기에 이르렀소?”라고 하자 굴원이 대답하기를, “온 세상이 모두 흐린데 나만 홀로 맑고 모든 사람들이 다 취했는데 나만 홀로 깨어 있어서, 이 때문에 추방을 당하였소.”라고 하였다. 어부가 말하기를, “성인()은 상대에게 얽매이지 않고 세속과 더불어 옮겨가니, 세상 사람들이 모두 흐리면 어찌하여 그 진흙탕을 휘저어 그 물결을 날리지 않으며, 모든 사람들이 다 취했으면 어찌하여 그 술지게미를 먹고 그 막걸리를 마시지 않으시오. 무슨 까닭으로 깊이 생각하고 높이 행동하여 자신을 쫓겨나게 하였소?”

 하니  하고  라. 6) 7)아. 8)하여 이언정 9)으로 아. 10)하고 11)하여  12)어든 이요 어든 이라하고 하더라.

굴원이 대답하기를, “내가 들으니, ‘새로 머리 감은 사람은 반드시 갓을 털고, 새로 목욕한 사람은 반드시 옷을 턴다.’고 하였소. 어떻게 자신의 깨끗함으로 상대의 더러운 것을 받아들일 수 있겠소. 차라리 상수()의 물결에 뛰어들어 강의 물고기 뱃속에 장사지내질지언정 어떻게 희고 흰 결백함으로 세속의 먼지를 뒤집어쓸 수 있겠소.”라고 하였다. 어부가 빙그레 웃고는 노를 저어 떠나면서 노래하기를, “창랑()의 물이 맑으면 나의 갓끈을 빨 수 있고 창랑의 물이 흐리면 나의 발을 씻을 수 있다네.”라고 하고는 마침내 떠나서 더 이상 함께 말하지 않았다.

 

<어부사>

조정에서 나온 굴원은 멱라강 기슭에서 어떤 어부를 만나게 되는데 어부는 방황하는 굴원에게 무슨 까닭으로 여기까지 오게 되었는지 물었다.
굴원이 답하길

擧世皆濁我獨淸 거세개탁아독청
衆人皆醉我獨醒 중인개취아독성
是以見放 시이견방​

온 세상이 모두 흐린데 나만 홀로 맑고
모든 사람들이 다 취했는데 나만 홀로 깨어 있으니
이 때문에 쫒겨나게 되었소.

 

어부는 세상과 같이 어울리지 않은 이유를 물었다.
굴원이 답하길

新沐者必彈冠 신목자필탈관
新浴者必振衣 신욕자필진의​

새로 머리 감은 사람은 반드시 갓을 털고
새로 목욕한 사람은 반드시 옷을 턴다​

 

세상과 타협할 수 없다는 굴원의 대답에 
어부가 말하길

滄浪之水淸兮可以濯吾纓 창랑지수청혜가이탁오영
滄浪之水濁兮可以濯吾足 창랑지수탁혜가이탁오족​

창랑의 물이 맑으면 내 갓끈을 씻으면 되고,
창랑의 물이 흐리면 내 발을 씻으면 되는 것을!